basic
대학교때 배운 해석학 내용을 정리해보자. 현재 시점에서 연습문제를 풀 수 있는 시간도 능력도 없다. 수학적으로 다루었던 개념들에 대한 정의 및 주요한 정리들을 기록하고, 최소한의 직관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 다행히도 관련된 solution 이 있기에, 필요한 것들은 참조하면서 보면 된다.
간략한 목표
- 극한의 개념을 엄밀하게 정의
- 좌표공간의 여러가지 성질 중에서 특히 두 점 사이에 정의되는 ‘거리'로부터 얻어지는 성질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이용하여 연속함수들의 성질을 공부
- 푸리에급수를 공부하기 위해서, 르벡적분과 적분가능한함수공간을 도입
[정의] 체의 공리 - 실수 전체 집합 \(\R\) 에는 두 가지 연산 더하기와 곱하기가 있어서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 덧셈에 대한 결합법칙
- 덧셈에 대한 항등원
- 덧셈에 대한 역원
- 덧셈에 대한 교환법칙
- 곱셈에 대한 결합법칙
- 곱셈에 대한 항등원
- 곱셈에 대한 역원
- 곱셈에 대한 교환법칙
- 덧셈과 곱셈에 대한 분배법칙
[정의] 순서 공리 - 실수체에는 비어있지 않은 부분집합 P가 존재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 \(a,b\in P \Longrightarrow a+b,\ ab \in P\)
- \(\R = P \cup \{0\} \cup (-P)\)
- 집합 \(P, \{0\}, (-P)\) 는 서로소이다.
두 실수 a, b 에 대해서 \(a-b \in P\) 이면 a 가 b 보다 크다라고 말하고 \(a > b\) 로 표기한다.
[정의] 완비성 공리
- 위로 유계이며 비어있지 않은 집합은 최소 상계를 가진다.
- 아래로 유계이며 비어있지 않은 집합은 최대 하계를 가진다.
[정의] 상계 및 하계
- 집합 \(S \sub \R , a\in\R\) 이 있을 때, \(x\in S \Rightarrow x \le a\) 가 성립하면 a 는 S 의 상계라고 한다.
- "순서 공리"에 의해서 순서가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유계" 라는 말이 가능하다.
- 위에서 언급된 순서공리 P 에 의해서 임의의 두 실수 a, b 에 대해서 \(a-b \in P\) 이면 a 가 b 보다 크다라고 말하고 \(a > b\) 로 표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의] 상한 및 하한
- 상계를 가지는 집합을 위로 유계 라고 한다.
- 유한 집합은 위로 유계이지만, 실수 집합은 위로 유계가 아니다.
- 상계 중 가장 작은 수를 최소상계 또는 상한라고 한다. \(\sup S\) 라고 한다.
- a 는 S 의 상계이다.
- b 가 S 의 상계이면 a ≤ b 이다.
- 이때 a 를 S 의 최소 상계 또는 상한이라고 부르며 \(\sup S=a\) 이다.
- 비슷한 방식으로 아래로 유계, 하한 \(\inf S\) 를 정의할 수 있다.
[정의] 열린 집합
- 기초 해석학에서는 \(R^n\) 에서 정의된 \(N(x,r) = \{y \in \R^n:||y-x|| < r \}\) 로 정의된 근방을 통해서 논의를 이어간다.
- 집합 A \(\sub \R^n\) 와 한 점 \(x \in \R^n\) 가 있을 때, \(N(x,\epsilon) \sub A\) 를 만족하는 양수 \(\epsilon\) 이 존재하면 x 는 A 의 내부점이라고 한다.
- 집합 U 가 열린 집합일 필요 충분 조건은 \(\text{int}U = U\) 이다. ( 즉 집합의 모든 원소가 내부점이어야 한다. )
- "열린집합" 에서 "열린" 은 boundary point 를 포함하지 않는 다는 직관적 의미에서 나온 것이다. "열린" 은 "boundary" 를 건드리지 않고 어느정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직관을 가진다.
- "열린" 은 "근방" 이라는 개념을 정의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해석학에서의 연속성 등을 연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념이다.
- 열린집합의 "유한" 교집합은 여전히 열린집합입니다. 열린집합의 합집합은 여전히 열린집합이다. 이러한 성질은 열린집합이 주변에 점들을 가지고 있고, 교집합과 합집합 연산을 통해 열린집합의 특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열린" 이라는 의미는 위상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이며, 연속성, 수렴성 그리고 다른 중요한 개념들을 정의할 때 핵심적인 개념이다.
닫힌 집합
- 닫힌 집합이 될 필요 충분 조건을 생각해보자.
- 열린 집합과 닫힌 집합의 차이점을 생각해보면, 닫힌 구간에서 수렴하는 수열이 있으면 그 극한은 반드시 닫힌 집합의 원소가 된다. 그러나 열린 집합은 그러하지 못하다.
- 다음이 동치다.
- F 가 닫힌 집합이다.
- \(F' \sub F\)
- \(\bar{F}=F\)
- F안의 수열 <\(x_n\)> 이 x 로 수렴하면 \(x\in F\) 이다.
[정의] 극한점
- 집합 \(A \sub R^n\) 과 점 \(x \in R^n\) 에 대해서 \(\forall \epsilon >0, \exist x'\in (A-\{x\}) \cap N(x,\epsilon)\) 이면, x를 A의 극한점이라고한다.
- 적당히 자기 주변에 점들을 잡았을 때 무한히 점이 많다는 뜻이다.
- 집합 \(A \sub \R^n\) 이 닫힌 집합일 필요 충분 조건은 A 의 모든 극한점이 A 에 속한다는 것이다.
- A 의 극한점을 모두 모은 집합을 \({A}'\) 로 표시하고 \(A\) 와 \({A}'\) 의 합집합을 A 의 닫힘(closure)이라고 부른다.
- 일반적으로 \(\bar{A}= X\) 이면 A 가 X 에서 조밀(dense)하다고 말한다.
[정의] 고립점
- \(x\in A\) 가 A의 고립점일 필요충분조건은
- 적당한 양수 \(\epsilon\) 이 존재해서 \(N(x,\epsilon) \cap A = \{x\}\) 이다.
- 즉 전체 집합 ( A ) 에 대해서 "근방"에 자기 밖에 없다는 것
[정의] 유계집합
- 집합 A 가 유계라는 것은, 적당한 양수가 있어서 \(A \sub N(0,R)\) 이라는 거다.
- 보통은 집합이 metric space (M, d) 일 때 정의할 수 있는 듯 참고
- 즉 적당한 크기의 공안에 A의 모든 원소를 포함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 유계집합 A 가 무한집합이라면 극한점을 가진다 (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
[정의] 코시수열
- 임의의 양수 \(\epsilon\)에 대해서, 적당한 자연수 N 이 존재해서 $N \le n,m $ 이면, \(||x_m - x_n|| < \epsilon\) 이면 코시수열이라고 한다.
- 수렴하는 수열은 코시수열이다. 또한 임의의 코시 수열은 유계이다.
- 코시수열의 부분수열이 점 x 로 수렴하면 코시수열도 점 x 로 수렴한다.
- 특정한 한 자연수 N 보다 큰 모든 자연수 n 에 대해서 \(||x_n - x|| < \epsilon\) 이 성립하기 때문에, 적당히 삼각 부등식을 활용하면 보일 수 있다.
- 좌표 공간의 코시 수열은 항상 수렴한다.
[정의] 옹골집합(Compact Set)
-
집합 K 의 임의의 열린 덮개가 유한 부분 덮개를 가지면 K를 Compact Set 이라고 한다.
- 즉, "유한"한 "열린" 덮개를 통해서 전체 집합를 다룰 수 있다.
- Compact Set 이 아님을 보이기 위해서는 유한 부분 덮개를 가지지 않은 열린 덮개를 하나 찾아야한다.
- 예를 들어 \(\{(k-\dfrac{1}{2}, k+\dfrac{1}{2}) \sub R : k \in N \}\) 은 자연수의 덮개이지만 유한 부분 덮개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N 은 Compact Set 이 아니다.
Compact Set은 "한 번에 모든 원소를 한정된 크기의 상자 안에 넣을 수 있는 집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Compact Set은 유계(bounded) 집합입니다. 즉, 어떤 상수 M을 정하면, Compact Set의 모든 원소는 절대값이 M보다 크지 않습니다.
- Compact Set은 "모든 열린 커버(open cover)"에 대해 "유한개의 열린 커버(finite subcover)"를 가져야 합니다. 이는 Compact Set이 어떤 방식으로든 무한히 늘어난 열린 영역들로 덮여져 있어도, 그 중에서 유한한 개수의 영역만으로도 Compact Set을 덮을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임의의 Compact Set 은 유계이고 닫혀있다. ( 어떻게 보면 실수의 유계 닫힌 영역의 추상화라고 볼 수 있다. "닫혀" 있음은 수렴하는 수열의 극한점과 관련된 성질이다. )
- 유계
- \(\{N(0,k) : k \in N \}\) 이 K 를 덮는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유한개의 원소 \(N(0,k_1), N(0,k_2), \cdots, N(0,k_n)\) 으로 K 를 덮을 수 있다.
- 그러면 \(k=\max\{k_1, k_2, \cdots, k_n\}\) 이라고 하면, \(K \sub N(0,k)\) 이다. 따라서 K 는 유계이다.
- 닫힘
- K 가 Compact Set 이라고 가정하자. \(U - K\) 가 Open 임을 보이면 된다.
- 적당히 K 에 속하지 않는 점 x 를 잡고, K 를 덮는 커버를 잡아서 -> 유한 부분 커버를 잡은 뒤 -> 그 것을 이용해서 x 가 U 의 안점임을 보여서 -> \(U-K\) 가 Open 임을 보이면 된다.
- 유계
-
상자 \(B = I^1 \times I^2 ... \times I^N \sub N\) 은 Compact Set 이다.
-
다음이 동치다
- 좌표공간의 부분집합 \(K \sub R^n\) 에 대해서
- K 는 compact set 이다.
- K 는 유계이며 닫혀있다.
- K 안의 임의의 무한 집합은 K 안에서 극한점을 가진다.
- K 안의 임의의 수열은 K 안에서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가진다.
- 좌표공간의 부분집합 \(K \sub R^n\) 에 대해서
-
집합 \(K \sub R^n\) 이 Compact Set 이고 F가 K 의 닫힌부분집합이면, F도 Compact Set 이다.
- Compact Set 으로 구성된 Class of Set \(\{K_i : i \in I\}\) 가 있을 때, 임의의 유한 부분집합 \(J \sub I\) 에 대해서 \(\bigcap_{i \in J}K_i \neq \empty\) 를 만족하면 \(\bigcap_{i \in I} K_i \neq \empty\) 이다.
- 셀 수 있는 닫힌집합 \(S\sub R^n\)은 고립점을 가진다. ( 메모 - 이해를 못했다. )
[정의] 연결집합
- Compact Set 이 유계 닫힌 구간의 특징에 대한 일반화라고 생각한다면, 구간에 대한 일반화를 위해 연결성을 정의할 수 있다.
- 직관적으로는 "끊어지지 않은" 집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