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sor
좌표축 회전에 대해 특정 물리량이 변화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A^TA=I\) 는 특별하다.
스칼라, 벡터, 텐서⚑
- 물리량 → 자연 현상의 일부를 숫자로 대표한 양
- 스칼라 →기준계의 좌표축 회전 아래 바뀌지 않는 양
- 벡터 → 기준계 좌표축 회전 아래 위치 벡터처럼 바뀌는 양
자연 법칙을 적용하려면 반드시 먼저 기준계를 정한다.
기준계를 정한다는 것은 원점의 위치와 좌표축의 + 방향을 정한다는 것
자연 법칙을 적용해 얻는 결과는 기준계를 어떻게 정하든지 똑같다.
벡터는 좌표축 회전에서 위치를 변환시킨 변환 행렬과 똑같은 변환행렬에 의해 바뀌어야 한다.
스칼라는 좌표축 회전에 의해서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변환 행렬은 직교 행렬이어야 한다.
다이애딕
$$ \vec{F}\vec{G}=(\hat{x_1}F_1+\hat{x_2}F_2+\hat{x_3}F_3)(\hat{x_1}G_1+\hat{x_2}G_2+\hat{x_3}G_3) \ [10px]
= $$
다이애딕이 텐서이기 위해서는 ( 즉 어떤 변환에 대해서 텐서곱이 변화하지 않기 위한 조건은 ) 아래와 같다.
즉, 텐서도 스칼라나 벡터처럼 좌표계 회전에 의해 정의된다.
텐서 vs 행렬⚑
인덱스의 개수에 따라 텐서의 Rank 가 결정된다.
Rank = 0 인 텐서 → 스칼라 ( \(\alpha' = \alpha )\)
Rank = 1 인 텐서 → 벡터 ( \(F_i' =\sum_{j=1}^3a_{ij}F_j)\)
Rank = 2 인 텐서 → 텐서 ( \(T'_{ij} = \sum_{k,l=1}^3a_{ik}a_{jl}T_{kl}\) )
Rank =3 인 텐서 → 텐서 ( \(T'_{ijk} = \sum_{l,m,n=1}^3a_{il}a_{jm}a_{kn}T_{kl}\) )
텐서
- 첨자가 두 개 이고 아홉 개의 숫자로 구성됨
- 스칼라, 벡터와 함께 물리량을 대표하는데 이용됨
- 텐서를 대표하는 기준계가 회전하면 숫자가 바뀜
- 텐서가 행렬로 표현된다고 말할 수 있음
- 텐서의 첨자는 세 좌표축 중 하나를 가르킨다.
행렬
- 첨자가 두 개이고 n X m 개의 숫자로 구성됨
- 물리량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 식들을 간단히 표현하는 데 사용됨
- 행렬을 구성하는 숫자들은 기준계와 직접 관계가 없음
- 행렬이 텐서로 표현된다고 말하지 않음
- 행렬의 첨자는 좌표축과 직접 관계가 있지는 않다.
관성 모멘트 vs 관성 텐서⚑
관성 모멘트
- 1 차원 회전에서 이용
- 한 축이 고정 → 회전 축
- \(\vec{L}=I\vec{\omega}\) → 스칼라
- \(T= \dfrac{1}{2}I\omega^2\)
관성 텐서
- 3차원 회전에서 이용
- 한 점이 고정 → 원점
- \(\vec{L}=I\cdot\vec{\omega}\) → 텐서
- \(T=\dfrac{1}{2}\vec{\omega}\cdot I \cdot \vec{\ome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