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r-cnn

TL;DR

  • RCNN(Region-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은 객체 탐지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
  • Selective Search를 통해 후보 영역을 생성하고, 각 영역에 CNN을 적용하여 객체를 분류함.
  • RCNN은 높은 정확도를 달성했으나, 연산 비용이 매우 큼.
  • 2 stage 방식의 Fast RCNN, Faster RCNN 등이 이후 등장하여 RCNN의 성능을 개선

Problem

  • Sliding Window와 같은 방법들은 객체 탐지의 정확도가 낮고, 비효율적
  •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들은 객체 탐지의 정확도가 낮음.

Contribution

  • selective search를 통해 후보 영역을 생성, Sliding Window 방식보다 효과적
  • CNN을 적용하여 Feature 추출, Hand-crafted feature(HOG, SIFT 등)보다 높은 정확도.
  • ResNet 등의 최신 CNN 모델을 사용하여 객체 탐지의 정확도를 높임.
  • Bounding Box Regressor를 사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조정

기본 개념

  • RCNN은 입력 이미지에서 여러 후보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생성하여 각각의 영역에서 객체를 탐지하는 방법임.
  • Selective Search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천 개의 후보 영역을 추출함.
  • 각 후보 영역에 대해 CNN을 적용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SVM을 사용해 객체를 분류함.
Selective Search
import numpy as np
import cv2
from skimage.segmentation import slic
from skimage.color import rgb2lab
from scipy.spatial.distance import euclidean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def compute_color_histogram(region):
    # RGB 색상 히스토그램 계산
    hist = np.zeros(25)
    for pixel in region:
        bin_index = (pixel[0] // 64) * 9 + (pixel[1] // 64) * 3 + (pixel[2] // 64)
        hist[bin_index] += 1
    hist /= len(region)
    return hist

def initialize_regions(img, segments):
    # 초기 영역 설정: 각 초기에 분할된 영역을 개별적으로 다룸
    regions = {}
    for y in range(img.shape[0]):
        for x in range(img.shape[1]):
            segment_label = segments[y, x]
            if segment_label not in regions:
                regions[segment_label] = {
                    "labels": [segment_label],
                    "pixels": [],
                }
            regions[segment_label]["pixels"].append(img[y, x])

    for key in regions.keys():
        regions[key]["histogram"] = compute_color_histogram(regions[key]["pixels"])

    return regions

def merge_regions(r1, r2):
    # 두 영역을 병합하여 새로운 영역을 생성
    new_region = {
        "labels": r1["labels"] + r2["labels"],
        "pixels": r1["pixels"] + r2["pixels"],
    }
    new_region["histogram"] = compute_color_histogram(new_region["pixels"])
    return new_region

def selective_search(img, k=200):
    # 이미지의 SLIC 세그먼트 계산
    segments = slic(img, n_segments=k, compactness=10)

    # 초기 영역 설정
    regions = initialize_regions(img, segments)

    # 병합 가능한 영역들의 쌍을 생성
    region_pairs = list(combinations(regions.keys(), 2))

    while region_pairs:
        # 각 영역 쌍에 대해 유사성 계산 (단순히 색상 히스토그램 간의 유클리드 거리)
        min_distance = float('inf')
        best_pair = None
        for (r1_key, r2_key) in region_pairs:
            r1 = regions[r1_key]
            r2 = regions[r2_key]
            distance = euclidean(r1["histogram"], r2["histogram"])
            if distance < min_distance:
                min_distance = distance
                best_pair = (r1_key, r2_key)

        # 가장 유사한 영역 병합
        if best_pair:
            r1_key, r2_key = best_pair
            new_region = merge_regions(regions[r1_key], regions[r2_key])
            new_key = max(regions.keys()) + 1
            regions[new_key] = new_region
            del regions[r1_key]
            del regions[r2_key]

        # 병합 후 새로운 영역 쌍 계산
        region_pairs = list(combinations(regions.keys(), 2))

    return regions

# 테스트 이미지 불러오기
img = cv2.imread('path_to_image.jpg')
img_rgb = cv2.cvtColor(img, cv2.COLOR_BGR2RGB)

# 선택적 검색 수행
regions = selective_search(img_rgb, k=100)

# 영역 시각화
output_img = img_rgb.copy()
for region in regions.values():
    for (y, x) in region["pixels"]:
        output_img[y, x] = [255, 0, 0]  # 병합된 영역을 빨간색으로 표시

cv2.imshow('Selective Search Output', cv2.cvtColor(output_img, cv2.COLOR_RGB2BGR))
cv2.waitKey(0)
cv2.destroyAllWindows()
  • 초기 군집형성에는 SLIC(Simple Linear Iterative Clustering) 알고리즘을 사용함.
  • 다른 종류의 군집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음.
  • SLIC (Simple Linear Iterative Clustering)

    • 목적: SLIC 알고리즘은 이미지를 슈퍼픽셀(superpixel)로 분할하는 방법입니다. 슈퍼픽셀은 서로 비슷한 색상과 인접한 픽셀들을 그룹화한 작은 영역입니다.
    • 작동 방식: SLIC는 K-means 클러스터링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색상과 공간 정보를 결합하여 이미지를 슈퍼픽셀로 나눕니다. 이는 이미지의 중요한 경계를 유지하면서도 연관성이 있는 픽셀들을 그룹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장점: SLIC는 빠르고 효율적이며,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슈퍼픽셀이 매우 규칙적이고 균일합니다. 이는 후속 이미지 처리 작업, 예를 들어 객체 인식이나 세그먼테이션, 트래킹 등에 유리합니다.
  • Felzenszwalb's Efficient Graph-Based Image Segmentation

    • 목적: Felzenszwalb 알고리즘은 이미지의 물체 경계를 고려한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그래프 기반 방법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픽셀들을 군집화합니다.
    • 작동 방식: 이 방법은 각 픽셀을 그래프의 노드로 보고, 노드 간의 유사성을 엣지로 표현합니다. 유사성이 높은 픽셀들(즉, 엣지의 가중치가 작은 픽셀들)을 연결하여, 이미지에서 자연스러운 군집을 형성합니다. 이때, 군집화의 기준은 주어진 가중치 임계값을 기반으로 설정됩니다.
    • 장점: Felzenszwalb 알고리즘은 매우 효율적이고, 자연스러운 경계를 잘 유지하며, 세그먼테이션의 해상도와 복잡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객체 검출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유용합니다.

전체 흐름

flowchart TD
    A[입력 이미지] --> B[Selective Search로 후보 영역 생성]
    B --> C[CNN을 사용해 각 후보 영역의 특징 추출]
    C --> D[SVM을 통해 각 후보 영역의 객체 분류]
    D --> E[Bounding Box Regressor로 위치 조정]
    E --> F[최종 객체 탐지 결과]

Reference